식탁 닦을 때 물티슈 쓰면 안 됩니다…전문가들이 경고한 ‘이 성분’의 정체

by 김혜은 기자

댓글 0개

입력

벤잘코늄클로라이드 잔여물이 남기는 위험

물티슈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식사 직전 물티슈로 식탁을 닦는 것이 과연 위생적일까. 많은 가정에서 간편함 때문에 이 방법을 사용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습관이 오히려 건강에 유해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일반 물티슈에 포함된 다양한 화학 성분이 식탁 표면에 남아 음식물과 함께 섭취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물티슈가 식탁에 부적합한 이유

물티슈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시중에 유통되는 대부분의 물티슈 제품은 수분과 영양분이 풍부한 환경에서 미생물이 증식하는 것을 막기 위해 강력한 보존제와 살균 성분을 포함한다.

제품 자체의 부패를 막기 위한 필수 요소지만, 이 성분들이 식탁 청소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대표적인 성분인 ‘벤잘코늄클로라이드(Benzalkonium chloride)’는 4급 암모늄염 계열의 살균·소독제다. 표면 오염을 제거하는 효과는 뛰어나지만, 인체 노출 시 잠재적인 위험성을 가진다.

화학 성분 노출의 잠재적 위험

식탁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이러한 화학 성분은 피부에 반복적으로 접촉할 경우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다. 더 큰 문제는 식탁에 남은 잔여 성분이 입으로 들어가는 경우다.

벤잘코늄클로라이드와 같은 살균제 성분은 구강 점막을 자극하거나 위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식기나 음식이 직접 닿는 식탁 표면에 이러한 성분이 남지 않도록 각별한 관리가 요구된다.

안전한 식탁 관리를 위한 대안

행주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가장 안전하고 전통적인 방식은 젖은 헝겊 행주를 사용하는 것이다. 기름기나 묵은 때가 문제라면 주방 세제를 극소량만 묻혀 닦아낸 뒤, 깨끗한 물에 빤 행주로 세제 성분이 남지 않도록 여러 번 다시 닦아내는 것이 좋다.

행주 자체의 위생 관리가 번거롭다면 천연 재료를 활용할 수 있다. 식초와 물을 1:3 비율로 섞은 희석액은 훌륭한 천연 소독제 역할을 한다.

식초의 주성분인 아세트산(Acetic acid)이 살균 작용을 돕고 냄새 입자를 중화시킨다. 기름때 제거에는 베이킹소다 용액이 효과적이다.

물티슈 사용 시 확인 사항

식품용 물티슈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편의성 때문에 물티슈 사용을 포기할 수 없다면, 제품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일반적인 청소용이나 인체 세정용이 아닌, ‘식품용’ 또는 ‘식기 닦기용’으로 인증받은 전용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제품 구매 시 뒷면의 전성분표를 반드시 확인하여, ‘벤잘코늄클로라이드’, ‘파라벤’ 계열 보존제, ‘합성 향료’ 등이 포함되지 않은 무첨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탁은 음식을 섭취하는 공간인 만큼 청결함과 안전함이 동시에 요구된다. 무심코 사용해 온 물티슈가 눈에 보이지 않는 화학 성분을 남길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조금 번거롭더라도 행주나 천연 세정제를 활용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길이 될 수 있다.

전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