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마다 피어나는 노란 꽃” 차로도 먹고 죽으로도 먹는 ‘이 곡물’의 재발견

by 김혜은 기자

댓글 0개

입력

잊혀진 들꽃에서 건강식물로, 만성피로 해소에 주목받는 새팥

새팥 죽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가을철 혈액순환과 해독 작용에 도움을 주는 들판의 식물은 무엇일까. 많은 이들이 인공적인 건강식품을 떠올리지만, 정답은 우리 주변의 밭두렁이나 풀숲에서 자라는 ‘새팥’이다.

팥죽이나 팥빙수에 사용되는 재배 팥의 원조 격인 이 식물은 예로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널리 쓰이며 그 가치를 인정받아 왔다.

재배 팥의 조상, 새팥의 정체

새팥 잎
새팥 잎 / 국립생물자원관

새팥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학명은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로, 현재 우리가 흔히 먹는 팥(Vigna angularis)의 야생 원종으로 분류된다. ‘새(사이)에서 나는 팥’이라는 이름처럼 주로 밭과 밭 사이의 경계나 논두렁, 길가에서 자생한다. 돌팥 또는 산녹두라는 이명으로도 불린다.

새팥의 줄기는 가늘고 길게 뻗어 나가며 주변의 다른 식물이나 지지대를 감고 최대 2~3미터까지 성장한다. 줄기와 잎 전체에는 미세한 털이 덮여 있어 촉감이 다소 거칠다.

잎은 세 개의 작은 잎이 모여 하나의 겹잎을 이루는 형태를 띠며, 넓은 심장 모양을 하고 있다. 여름이 지나고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잎겨드랑이에서 길게 뻗어 나온 꽃대 끝에 2~5개의 작고 노란 나비 모양 꽃이 핀다. 꽃이 지고 나면 얇고 긴 원통형 꼬투리가 열리는데, 이 안에는 보통 5개에서 8개 사이의 작고 단단한 씨앗이 들어있다.

식용을 넘어 약용까지, 전통 속 활용법

새팥 꽃
새팥 꽃 / 국립생물자원관

새팥은 오랜 세월 동안 단순한 구황작물을 넘어 귀한 약재로도 활용됐다. 과거 식량이 부족하던 시절, 사람들은 가을에 익은 새팥 꼬투리를 채취해 씨앗을 모았다.

이 씨앗을 물에 충분히 불린 후 밥에 넣어 먹거나 가루로 만들어 식량으로 삼았다. 또한 꽃과 덜 익은 열매를 포함한 식물 전체를 건조해 차로 우려 마시면 몸의 냉기를 없애고 피로를 푸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졌다.

한의학에서는 새팥을 ‘야편두(野扁豆)’ 등의 이름으로 기록하며,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하다고 설명한다. 주로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체내 독소를 배출하는 해독 작용에 사용됐다.

특히 어혈을 풀어주고 기운의 순환을 원활하게 만들어 각종 통증 완화에도 처방된 기록이 전해진다. 이러한 전통적 지식은 새팥이 단순한 야생 식물이 아니라 우리 조상들의 건강을 지켜온 중요한 식물 자원이었음을 보여준다.

새팥의 효능과 주목받는 성분

새팥 차
새팥 차와 팥 떡 / 게티이미지뱅크

현대 과학의 관점에서도 새팥의 전통적 효능은 상당한 근거를 가진다. 새팥에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같은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이 성분들은 체내 활성산소를 제거해 세포의 노화를 방지하고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일부 연구에서는 새팥 추출물이 항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시하며 약용 식물로서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또한 만성피로 회복과 성인병 예방에 이롭다는 민간의 전승 역시 이러한 항산화 작용과 무관하지 않다. 꾸준히 섭취할 경우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혈관 건강을 개선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처럼 새팥은 단순한 열량 공급원을 넘어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포함한 ‘보약 식물’로 평가받는다.

생태계와 농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새팥 잎
새팥 잎 / 국립생물자원관

새팥은 인간에게 유용한 자원이지만, 농업 생태계에서는 양면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덩굴성이 강하고 번식력이 뛰어나 재배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잡초로 인식되기도 한다.

넓은 잎이 햇빛을 가리고 다른 식물을 휘감아 영양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일부 농가에서는 관리의 대상으로 여기기도 한다.

반면 콩과 식물 특유의 질소 고정 능력은 토양을 비옥하게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새팥의 뿌리혹박테리아는 공기 중의 질소를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꾸어 척박한 땅의 지력을 높인다.

이는 화학 비료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농법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더 나아가, 새팥은 재배 팥의 야생 원종으로서 병충해에 강한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어 미래의 품종 개량을 위한 핵심적인 유전자원으로도 매우 높은 가치를 지닌다.

전체 댓글 0